고입정보포털

learner characteristic 자기주도 수준에 따른 학습자 특성

높은 자기주도 수준 학습자의 특성과 낮은 자기주도 수준 학습자의 특성을 대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확인합니다. 높은 자기주도 수준 학습자는 과제 수행에 높은 가치를 두고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학업의 불안도가 낮은 반면, 낮은 자기주도 수준 학습자는 부정정서와 학업의 불안도가 높은 경향을 보입니다.

자기주도 수준에 따른 학습특성 차이 -대학생 대상

자기주도  수준이 높은 학습자 - 자기주도 수준이 낮은 학습자
  • [자기주도 수준이 높은 학습자 그룹]은 기타(명예와인기/이미지/기여),학생참여(인지적/정서적/행동적), 생의 목표(물질적/성장과 관계), 과제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가치가 높은 반면 학업에서의 불안도는 낮은 편이다.
  • [자기주도 수준이 낮은 학습자 그룹]은 학업에서의 불안도가 압도적으로 가장 높다. 나머지 특성은 현저히 낮게 나타난다.
  • 학업에서의 불안도
  • 과제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가치
  • 생의 목표 (물질적/성장과 관계)
  • 학생 참여 (인지적/정서적/행동적)
  • 기타(명예와 인기/이미지/기여)

높은 자기주도 수준 학습자의 특징

  • 과제를 수행하는 것에 높은 가치를 둔다.
  • 살아가는 생의 목표에서 물질적 목표, 성장과 관계의 목표가 높다.
  • 학습에 참여하는 것 또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 반면에, 학업에서의 불안도는 낮은 것이 특징이다.

낮은 자기주도 수준 학습자의 특징

  • 과제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가치가 낮다.
  • 살아가는 생의 목표에서 물질적 목표, 성장과 관계에 대한 목표가 낮다.
  • 학습에 참여할 때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참여도가 낮다.
  • 학업성취에 대한 기대 또한 낮은 특성을 보인다.
  • 반면에, 학습과정에서 경험하는 불안도는 높다.

출처 / 김현진, 이순아, (2018) 자기주도와 자기조절 수준에 따른 학습동기, 학습과정, 학습결과 차이

자기주도 수준에 따른 학습특성 차이 -고등학생 대상

교수자 전략 도식화
  • 자기효능감 : 조절우수형(65%), 평균형(25%), 조절미흡형(10%)
  • 성취가치 : 조절우수형(45%), 평균형(43%), 조절미흡형(12%)
  • 실패내성 : 조절우수형(40%), 평균형(45%), 조절미흡형(15%)
  • 내재적흥미 : 조절우수형(45%), 평균형(43%), 조절미흡형(12%)
  • 긍정정서 : 조절우수형(50%), 평균형(40%), 조절미흡형(10%)
  • 학습시간 : 조절우수형(45%), 평균형(43%), 조절미흡형(12%)
  • 성취수준 : 조절우수형(47%), 평균형(43%), 조절미흡형(10%)
  • 희망교육수준 : 조절우수형(45%), 평균형(45%), 조절미흡형(12%)
  • 부정정서 : 조절우수형(15%), 평균형(30%), 조절미흡형(45%)
  • 시험불안 : 조절우수형(20%), 평균형(25%), 조절미흡형(55%)
  • 무기력 : 조절우수형(10%), 평균형(35%), 조절미흡형(50%)
  • 조절우수형 (29.8%)
  • 평균형 (48.4%)
  • 조절미흡형 (21.8%)

조절우수형

조절우수형은 학습동기(자기효능감, 성취가치, 실패내성, 내재흥미)가 높고, 학업상황에서 긍정정서를 많이 경험한다. 또한 무기력이나 시험불안이 낮아 학업상황에 매우 적응적인 모습을 보인다.

평균형

평균형은 학습동기, 정서, 학업관련특성(학습시간, 성취수준, 희망교육수준)에서 대체로 평균선에 위치한다.

조절미흡형

조절미흡형은 학습동기(자기효능감, 성취가치, 실패내성, 내재흥미)가 낮고, 긍정정서보다 부정정서를 많이 경험하며, 무기력이 높은 특성을 보인다. 이는 반복된 실패경험으로 생긴 동기적 특성인 경우가 많다.

출처 / 정윤선, 양명희 (2012)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유형 탐색